-
1개의 모뎀으로 여러 개의 IP 쓰는 법 진짜 쉬운 설정 가이드온라인 친구 2025. 5. 15. 19:05728x90반응형
1. 공인 IP 여러 개 할당받는 방법 (ISP 요금제 필요)
📌 개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로부터 여러 개의 공인 IP 주소를 유료로 할당받는 방식입니다.
🛠️ 방법
- ISP에 문의해 추가 공인 IP를 신청
- 예: KT, SK, LG 등 통신사에서 "비즈니스 요금제", "다중 IP 서비스" 신청
- 모뎀에 공유기 또는 허브 연결
- 공유기/스위치 포트별로 각각 IP를 할당 (고정 IP 매핑)
✅ 장점
- 각 기기마다 공인 IP를 갖게 됨
- 포트포워딩 없이도 외부 접속 가능
❗ 단점
- 추가 요금 발생 (보통 IP 하나당 월 1,000원~5,000원 이상)
- 일반 가정용 요금제에서는 제공 안 할 수도 있음
✅ 2. 공유기 NAT 기능으로 사설 IP 분배 (가정/일반 방식)
📌 개요
1개의 공인 IP만 할당받고, 공유기를 통해 사설 IP를 각 기기에 자동 분배하는 방식. 대부분의 가정에서 사용.
🛠️ 방법
- 모뎀 뒤에 공유기(router) 설치
- 공유기 DHCP 설정 활성화 → 자동으로 여러 기기에 IP 분배 (예: 192.168.0.x)
- 내부에서는 각 기기별 사설 IP로 통신
- 필요시 포트포워딩, DMZ 등으로 외부 접속 설정
✅ 장점
- 별도 비용 없음
- 간단하게 구성 가능
❗ 단점
- 외부에서 각 기기 접속하려면 포트포워딩 필요
- 모두 같은 공인 IP 공유 → IP 추적 시 하나로 나옴
✅ 보너스: 가상 네트워크로 다중 IP처럼 활용
🔧 기술 활용
- VPN 다중 연결: 각 VPN마다 서로 다른 IP를 갖도록 설정
- 프락시 서버 구성: 각 장치에서 다른 프락시를 사용
- Docker 컨테이너에 가상 네트워크 부여: 내부 실험/서버용
- 방법 사용 목적 필요조건
공인 IP 여러 개 외부에서 각 기기를 직접 접속 ISP에 다중 IP 신청 + 요금 공유기 NAT 가정용, 일반적인 사용 공유기만 있으면 OK VPN/가상 네트워크 특정 작업에 다른 IP 필요시 설정 기술 or 서비스 필요
주의사항
- 공인 IP가 노출되므로 보안 설정 필수
(방화벽, 포트 제한, 비밀번호 강화 등) - 라우터 성능/호환성 중요
(일반 가정용 공유기는 다중 공인 IP 미지원) - 정전 후 IP 재할당 방지: 장치에 MAC 주소 고정 or IP 고정 매핑 설정 추천
결론 요약
- ISP에 추가 공인 IP 유료 신청
- 고급 공유기 또는 스위칭 허브로 물리적 분리
- 각 장치에 수동 공인 IP 할당
- 보안 강화 필수, 포트 충돌 주의
728x90반응형'온라인 친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텔 i3~i9 시리즈 코어 수 총정리 (0) 2025.07.19 벌써 100만 원 넘게 벌었다! Honeygain 실사용자 리얼리뷰 (0) 2025.05.17 갤럭시 S25 엣지, 초슬림 프리미엄폰의 결정판! (0) 2025.05.14 AI 노트북 뭐가 좋을까? 브랜드별 성능 비교 정리 (0) 2025.05.13 차세대 인텔 15세대 CPU 출시 임박? 스펙·성능 루머 총정리 (0) 2025.05.13 - ISP에 문의해 추가 공인 IP를 신청